흙 막 이 공 사
1) 일반사항
대지면적이 협소하여 기초파기의 비탈을 충분히 잡을 수 없을 때, 깊 은 기초이고 연약지반으로서 비탈만으로 붕괴의 우려가 있을 때, 휴식 각을 고려한 흙파기 보다 경제적일 때 토사붕괴 대비책으로 공사한다.
2) 흙막이의 구분
a. 사용재료에 의한 구분
H-beam + 토류벽설치 , 강관파이프 + 널재사용공법 , Sheet파일 사용공법
기성콘크리트말뚝 설치공법 (C.I.P) , 콘크리트 연속벽 공법(Slurry wall)
나무널 말뚝공법 , 흙가마니 쌓기 , Top down공법
b. 지지방법에의한 구분
어스앵커지지 공법(Earth anchor 공법) , 버팀지지공법(Strut공법)
아일랜드지지 공법(Island 공법) ,
c. 차수재료 및 보강방법에 의한 구분
JSP공법(Jumbo Special Pattern 공법) , SGR공법(Space Grouting Rocket System 공법)
L.W공법(Labiles Wasserglass 공법) , Packer Grounting공법 , C.I.P공법
3) 자립식 공법 (H-Beam + 토류벽)
3-1) 자립식공법의 개요
지반이 양호하고 굴토깊이가 얕은 공사에 사용되는 흙막이 공법으로 H-Pile을 수직 설치한 후
굴착과 함께 흙막이 벽을 설치한다.
3-2) 자립식공법 산출방법
a. H-Pile 설치용 천공(m)
. 토질별로 구분하여 연장길이로 천공길이(m)를 산출한다.
. 토질별 천공길이(m) = H-Pile 본수 X 토질별 천공깊이(m)
. H-Pile 천공깊이는 최하굴착 면에서 -1.5m ~ -3.0m 까지 천공한다.
. H-Pile 간격은 일반적으로 1.8 - 2.0m로 한다.
b. Casing설치 및 인발(m)
. 천공시 토질에 따라 흙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강관을 설치하는 작업.
. 엄지말뚝용 H-Pile본수 X 흙붕괴가 예상되는 천공깊이
(일반적으로 암 반전까지 또는 토사 깊이 + 500m)
. H-Pile항타후 Casing회수는 전체회수를 기본으로 한다.
c. H-Pile항타 설치
H-Pile을 박는 작업으로서,H-Pile시공은 항타(N치 30이하)와 직타(N치 30이상)로 이루어진다
연약지반으로 직타시에는 진동으로 인한 인접 건물에 피해가 예상될 때에는 보링후 항타 설치한다.
항타설치(m) = H-Pile본수 X 천공깊이 (천공수량과 동일함)
d. H-Pile철거
. 지하구조체가 완성되어, 되메우기 공정완료후 흙막이 시설을 철거할 때 H-Pile을 뽑아낼 수
있는 수량(m)과 매립수량을 구분하여 산출한다.
. 합벽시공 및 인접건물 구간은 100% 사장시키는 것이 좋다.
. 합벽시공시는 흙막이 벽체와 구조물 벽체상의 여유 공간폭의 콘크리트 수량을 고려한다.
e. H-Pile 연결이음
. H-Pile 박는 깊이가 H-Pile 규격(10m)보다 길 경우 연결하는 작업이 다.
총 이음개소 = H-Pile본수 X 이음개소
f. 띠장설치 및 해체
H-Pile을 붙잡아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작업이며 흙 막이 도면에 준하여 총 연장길이로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띠장은 3m 간격으로 산출)
띠장설치(m) = 흙막이 수평길이 X 띠장설치 단수
띠장해체(m) = 띠장설치길이와 동일 (전체회수 가능)
g. 띠장지지용 브라켓의 설치 및 해체
띠장을 설치하기위해서 엄지말뚝에 지지용 받침대를 설치하는 작업.
브라켓은 이형철근 또는 ㄱ-형강으로 제작 설치할 수 있으며 철거 후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고철처리
한다.
브라켓 설치(개소) = H-Pile의 본수 X 띠장설치 단수
h. 토류판의 설치 및 해체
H-Pile사이에 가로 흙막이널(토류판 90 X 180)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토류판 설치(m2) = 흙막이 수평길이 X 흙막이 깊이
토류판 해체(m2) = 토류판 설치면적 - 매몰되는 토류판 면적.
i. 띠장 홈메우기
띠장과 엄지말뚝의 간격을 메우는 작업으로 띠장브라켓의 개소와 동일 하게 산출한다.
4) C.I.P (Cast In Place Prepact Pile) 공법
4-1) C.I.P공법 개요
천공 후 Hole에 철근을 삽입한 후 자갈,모래의 혼합골재 투입후 시멘 트 페이스트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만드는 공법이다.
4-2) C.I.P공법 산출방법
a. C.I.P천공 - C.I.P를 조성하기 위한 천공(줄파기 포함)이다.
천공길이(m) = C.I.P공수 X 토질별 천공깊이
b. Grouting - C.I.P의 구경에 따라 도면 물량을 산출한다.
Grouting체적(m3) = 구경면적 X Pile총길이
c. Casing 설치
공벽의 붕괴가 예상되는 토질을 예상하여(일반적으로 풍화암 전까지) 설치한다.
Casing 길이(m) = Casing설치공수 X 예상깊이
d. H-Pile 삽입 - 자립식 공법과 동일하다.
e. 철근망설치 - 설계수량(ton)으로 산출한다.
f. Slime 처리
Auger의 교반작업으로 생긴 진흙탕물 등을 장외로 반출하는 작업으로 Slime처리상자 반출로
이루어지며 Grouting량과 동일하게 산출한다.
5) 지중벽(Slurry Wall)공법
5-1) Slurry Wall 개요
. 흙막이 토류벽을 구조체의 일부로 사용하여 좁은대지의 활용을 극대화 하며, 인접 구조물이나
지반에 영향을 주지않는 장점이 있지마, 공사 비가 고가이고,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 지중벽을 먼저 시공하고, 상부부터 지지하면서 굴토하는 방법이다.
5-2) Slurry Wall 산출방법
a. 안내벽설치 및 철거
지중연속벽의 시공시 기준이 되는 가설물로서 안내벽의 규격별 흙막이 의 수평거리로 산출하다.
b. Slurry Wall 굴착
Bucket Grab이나 Hydrofraise 등의 장비를 사용해서 Dry Wall을 조성 하기 위해 굴착하는 것으로, 초기굴착은 수직도를 유지하기위해서 굴 착하며, 굴착시 공벽유지를 위해서 안정액(Bentonite액)을 공급하며 굴 착후 Slime을 제거한다.
굴착면적(m2) = 규격별 흙막이 수평거리 X 토질별 평균깊이
c. 잔토처리
굴차시 생기는 토량을 장외로 반출시키는 작업이다.
잔토처리 량(m3) = Slurry Wall면적 X Slurry Wall두께
d. 철근가공 및 설치 - 설계수량(ton)으로 산출한다.
e. Con'c 타설
철근망 건입후 트레미관으로 Con'c를 타설하는 작업으로 시공시 트레 미관이 Con'c면 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어치기가 없도록 한다. 설계수량(m3)로 산출한다.
f. 두부정리
연속벽상부의 두부를 정리하는 작업이다. 흙막이벽의 수평길이(m)로 산출한다.
g. Cap Beam설치
연속벽상부에 두부정리후 설치한다. 흙막이벽의 수평길이(m)로 산출한다.
h. Slurry Wall 벽면정리
Slurry Wall의 벽면의 요철이 마감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정리하는 작업이다.
벽면정리(m2) = Slurry Wall 수평 길이 X 굴착 깊이
i. Over Cutting
Panel과 Panel의 Joint를 견고하게 만들기 위한 작업이다. Joint의 총 길이로 산출한다.
6) 어스앙카 (Earth Anchor) 공법
6-1)어스앙카(Earth Anchor) 공법 개요
a. 흙막이벽 시공 후 Earth Anchor를 시공하여 흙막이 벽을 지지하는 공법이다.
b. 작업저장물이 없어 작업능률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인근구조물이나 지 중 매설물에 따라 시공
이 곤란한 경우가 있고, 유효한 지층이 깊을 경 우 비경제적인 설계가 된다.
6-2)어스앙카(Earth Anchor) 산출방법
a. 어스앙카 천공
토사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토압을 지지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앙카 용 천공작업으로서,
어스앙카 공수 X 공당깊이로 총길이(m)로 산출한다.
b. 강선 제작 삽입
인장용 강선을 다발로 제작, 어스앙카 천공 홀에 삽입하는 작업이다.
어스앙카 천공길이(m)와 같이 산출한다.
c. 그라우팅
. 어스앙카 천공홀에 강선을 삽입하고, 시멘트 밀크를 일정한 압력으로 주입 앙카체를 형성하는
작업이다.
. 어스앙카 천공길이(m)와 같이 산출하고, 시멘트 량은 별도 산출한다.
d. 콘조립 및 인장
어스앙카체가 형성되면 삽입된 강선을 인장하여 흙막이의 토압을 받도 록 하는 작업이다. 콘은 일반적으로 P.C콘을 사용하며, 포함하여 적용한다.
어스앙카 설치 총 공수로 산출한다.
e. 어스앙카 브라켓 설치
어스앙카의 인장력을 띠장에 전달하기 위하여 삼각대를 설치하는 작 업이다.
어스앙카 브라켓 설치 개소로 산출한다.
f. 어스앙카 브라켓 해체
흙말이 철거시 해체하는 작업으로서 설치 수량 전체를 회수 가능한 것으로 보고 어스앙카 브라켓 설치 개소와 동일하게 산출한다.
6) 버팀대(Strut Beam) 공법
6-1) 버팀대(Strut Beam) 공법의 개요
a.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양측 토압의 균형을 이용한 수평 버팀대로 토류 벽을 지지시키면서
점차 흙을 굴착하는 방법이다.
b. 토질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고, 재료비가 비교적 저렴하지만, 고저차가 크거나 상이한 구조일
경우 균형이 어렵고, 가설 구조물로 인하여 중 장비 작업이나 토량제거 작업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6-2) 버팀대(Strut Beam) 산출방법
a. Strut(버팀보)설치 - 수평가설재로 총길이(m)로 산출한다.
b. Strut 연결(이음)
Strut의 설치길이가 일반규격(10m)이상시 연결하는 작업이다. 이음개소로 산출한다.
c. 사보강재 설치
수평가설재의 말단부의 사보강재의 총길이(m)로 산출한다.
d. 화타제작,설치
Coner Strut와 띠장이 만나는 부위의 연결재를 개수로 산출한다.
e. jack 설치
Strut, Coner Strut를 설치하기 위해 띠장이 만나는 부위의 한쪽면의 개소로 산출한다.
f. Piece Braket 설치
Center Pile과 Strut가 만나는 부위로 Strut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한 다.
g. Bracing 설치
Strut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수직으로 L-형강 등을 설치한다.
설치하는 보강 Bracing의 총길이로(m) 산출한다.
'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감리업무 일반서식모음 (0) | 2013.05.09 |
---|---|
[스크랩] 건축공사의 가설공 시공관리 지침 (0) | 2011.02.07 |
[스크랩] 동절기공사 관리지침 (0) | 2009.11.24 |
[스크랩] 공사장 소음진동관리 지침서 (0) | 2008.11.20 |
[스크랩] 콘크리트공 품질기준 (0) | 2008.10.02 |